-
EBITDA는 이자 및 법인세차감전이익 란 의미로 "Earning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이다. 이는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용 등을 빼기 전 순수익을 뜻하는 것이다. 즉 기업의 순수 현금 창출 능력을 말하는 것이며 재무구조가 서로 다른 회사의 수익성을 비교할때 많이 사용하는 수익성지표이다.
|| EBITDA(에비타) = 당기순이익 + 이자비용(Interest) + 제세금(Taxes) + 감가상각 (Depreciation & Amortization)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
EV(이브이)는 "Enterprise Value"의 약자이며 기업의 가치를 말하는 것이다.
| EV = 시가총액 + 순차입금( 총차입금 - 현금 및 투자유가증권 )
일반적으로 차입금 비중이 높은 회사일 수록 많은 이자비용 부담 때문에 자기자본 비중이 높은 회사에 비해 당기순이익이 감소하고 수익성이 낮아 보이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회사의 자금조달방식에 따라 수익성 분석결과가 달라지지 않으려면 이자비용을 차감하기전의 이익을 비교하는것이 더 바람직하다.
EBITDA는 이자, 법인세, 감가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이익을 말하는 것이기에 재무활동에 따른 이자나 법인세가 고려되지 않은 지표로서 순수히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의 개념으로 현금흐름표의 영업현금흐름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즉, 현금흐름표의 영업현금흐름은 이자비용과 법인세가 차감된 후의 것인데 반해 EBITDA는 차감되지 전의 금액이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EV/EBITDA는 기업가치(EV)를 EBITDA로 나눈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현재 회사의 가치가 영업현금흐름의 몇배 정도로 평가되고 있는지 계산함으로써 기업가치가 고평가 또는 저평가를 따져볼 수 있게 된다.
EV/EBITDA(이브이에비타) = EV / 에비타 = (시가총액 + 순차입금) / (당기순이익 + 이자 + 법인세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예시로 100억(EV) / 30억(EBITDA) = 3.3배이고 이론적으로 기업이 현재와 같이 수익을 올리면 기업가치만큼 버는데 3.3년이 걸린다는 것이며, 비율이 작을 수록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어있다는 것이다.
*다만, EBITDA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모두 수익으로 포함하고 영업활동 외 수익과 비용은 반영되지 않기에 이를 참고해야 한다.반응형'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S/PEG (0) 2020.10.27 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 (0) 2020.10.25 연평균 성장률 (CAGR)이란? (1) 2020.06.24 (업데이트 2020-05-28 / 매도) 비욘드미트(BYND) (0) 2020.03.28 [뉴스공유] 트럼프 경제분야 지지율, 취임 후 최고 (0) 2019.05.06 댓글